노래를 포함하는 다섯 글자의 단어: 55개

두 글자:1개 세 글자:42개 네 글자:82개 🎗다섯 글자: 55개 여섯 글자 이상:61개 모든 글자:241개

  • 모심기 노래 : (1)모를 심을 때 부르는 노래.
  • 달구질 노래 : (1)무덤을 만들 때, 흙을 다지면서 부르는 장례 의식요. 선소리꾼이 선창을 하면 달구지꾼이 막대기로 땅을 다지고 발로 밟으며 소리를 메기는 방식으로 부른다.
  • 진도 들노래 : (1)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과 임회면 일대에 구전되는 노래. 논밭에서 일하면서 부른다.
  • 노래 사이트 : (1)인터넷상에서 음원을 직접 다운로드하거나 노래를 들을 수 있게 만든 사이트.
  • 노래기 뱅이 : (1)솔가지를 꺾어서 지붕 위에 던지고 ‘노래기 침 준다’ 하며 잎이 달린 생솔가지 끝을 한두 뼘 끊어서 초가지붕의 처마에 빙 둘러서 꽂는 풍속.
  • 남도 들노래 : (1)전라남도 진도에서 논일이나 밭일을 할 때 부르는 노래를 통틀어 이르는 말. 국가 무형 문화재 제51호.
  • 삼삼이노래 : (1)예전에, 길쌈할 때 부르던 노래.
  • 노래이야기 : (1)하나의 작은 이야깃거리를 노래와 대사로 표현하는 무대 예술 형식. 무용이 적절히 결합하기도 한다. 1960년대에 북한에서 근로자들에 의하여 새롭게 창조된 대중 예술 형식이다.
  • 노래기 부적 : (1)노래기를 쫓기 위하여 붙이는 부적. 음력 2월 초하룻날 농가에서 대청소를 하면서 서까래에 써 붙인다.
  • 바느질 노래 : (1)부녀자들이 바느질을 하면서 부르던 노래. 또 다른 여성 민요인 바늘 노래가 중간에 삽입되어 불려지기도 했다.
  • 노래 도우미 : (1)노래방에서, 분위기를 흥겹게 하기 위해 직접 노래를 부르거나 손님의 노래를 도와주는 사람.
  • 노래춤묶음 : (1)토막극, 노래, 춤 따위를 다양하게 묶은 무대 작품.
  • 구레의 노래 : (1)오스트리아 출신의 미국 작곡가 쇤베르크가 1911년에 작곡한 독창ㆍ합창ㆍ관현악을 위한 작품. 작품 번호가 없는 대작으로, 1913년에 초연되었다.
  • 무명밭 노래 : (1)진도 들노래 가운데 부녀자가 목화밭에서 김을 매면서 부르는 노래.
  • 취바리 노래 : (1)양주에 구전되어 온 노래의 하나. “산디판에 취바리 거동 봐라”라는 가사로 시작된다.
  • 코인 노래 : (1)동전이나 지폐를 넣어 그 금액에 해당하는 만큼 노래를 부르도록 장치를 해 놓은 곳.
  • 물레질 노래 : (1)물레에서 실을 뽑으며 부르는 노동요. 반복적인 과정의 작업 능률을 높이고 힘든 일의 고통을 해소하기 위하여 부르는 노래이다. 지역에 따라서는 물레 타령, 명 잣는 소리, 실 잣는 소리 따위로 부르기도 한다.
  • 널뛰기 노래 : (1)우리나라 구전 민요로, 음력 정초에 설빔을 차려입은 젊은 부녀자들이 널뛰기를 할 때에 부르는 노래. 율동적인 가락이 특징이다.
  • 중단된 노래 : (1)이탈리아의 작곡가 노노의 칸타타. 1956년 완성되었으며 독창과 합창 및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이다. 전위적인 기법과 테마의 적극성이 잘 결합된 명작으로 평가를 받는다.
  • 노래밋과 : (1)조기강 쏨뱅이목의 한 과. 임연수어, 줄노래미, 노래미 따위가 있다.
  • 포로의 노래 : (1)이탈리아의 작곡가 달라피콜라의 작품. 혼성 4부 합창과 피아노, 하프, 타악기들을 위한 곡으로, 3부로 구성되어 있다.
  • 노래지다 : (1)샛노랗게 되다.
  • 저축의 노래 : (1)1949년 공보처 공모 해방 이후 첫 건전 가요. 박목월 작사, 나운영 작곡, 봉봉 사중창단과 이 시스터즈 노래의 곡이다. 공보처의 ‘선전 대책 위원회’를 통하여 공모하여 <일터로 가자>와 함께 선정되었다.
  • 김매기 노래 : (1)논밭에서 김매기를 할 때 부르는 민요. 전라도, 제주도 등지에서 전해지는데, 지역에 따라 노랫말과 가락이 조금씩 다르다.
  • 혁대노래 : (1)혁대노래깃과의 절지동물. 몸의 길이는 3cm 정도이며, 어두운 갈색이다. 더듬이가 길고 몸통은 20마디이며 각 마디에는 세 개의 가로줄로 된 혹 모양의 돌기가 있다. 풀숲이나 습지에 사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노래 반주기 : (1)부르고 싶은 곡을 선택하면 그에 맞추어 녹음된 반주 음악을 들려주는 기계.
  • 밭 밟는 노래 : (1)제주도의 민요. 농부들이 밭에 씨를 뿌린 다음, 마소와 함께 밭이랑을 밟으며 부르는 노동요이다.
  • 동전 노래 : (1)동전을 넣어 그 금액에 해당하는 만큼 노래를 부르도록 장치를 해 놓은 곳.
  • 롤랑의 노래 : (1)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되고 유명한 중세의 무훈시(武勳詩). 11세기 말에서 12세기 초 사이에 트루베르가 지은 것으로 추측되며, 이슬람교도 토벌을 위하여 에스파냐에 원정한 카롤루스 대제의 조카 롤랑이 양아버지의 배반으로 이슬람교도의 습격을 받아 싸우다가 장렬하게 전사한다는 이야기이다.
  • 새 쫓기 노래 : (1)우리나라 구전 민요의 하나. 벼가 한창 익을 무렵 어린아이들이 새막이나 논둑에 앉아 새를 쫓으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 곡성 들노래 : (1)전라남도 곡성 지방의 들노래. 모심기 노래, 논매기 노래, 장원질 노래 따위로 되어 있다.
  • 미명밭노래 : (1)‘무명밭 노래’의 방언
  • 이동 노래 : (1)이동식 노래방 기계를 사용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노래를 부를 수 있게 만든 시설.
  • 나무꾼 노래 : (1)나무꾼들이 부르던 구전 민요의 하나. 지방에 따라 다르고 사설도 고정된 것이 없다.
  • 행복한 노래 : (1)프랑스 작곡가 포레의 작품. 프랑스 서정 시인 베를렌의 9개의 시를 골라 가사로 사용하였으며, 1892년에서 1894년에 작곡되었다.
  • 살랭이 노래 : (1)상평통보를 사용하는 놀음에서 부르던 노래. 오자(五字) 노래, 십자(十字) 노래 따위가 있다.
  • 모내기 노래 : (1)모내기할 때 부르는 민요의 하나. 곡은 느리고 길며, 대개 가사가 건전한 것이 특징이다.
  • 소몰이 노래 : (1)가축 떼를 유인하는 소리에서 발전한, 스위스 산악 지방의 민요. 특히 독일어를 쓰는 지방에서 전해지는 노래를 이른다. 각 행의 가사가 11음절 또는 13~16음절로 이루어진 4행시가 많다.
  • 노래 연습장 : (1)방음이 된 방에서 가사가 화면에 나타나는 음악 반주기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도록 장치를 해 놓은 곳.
  • 밭매기 노래 : (1)여성들이 밭을 매며 부르던 민요. 영호남과 제주 지역에서 많이 불린 노동요이며, 여성들의 고된 생활과 삶의 희로애락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 논매기 노래 : (1)논에서 김을 맬 때 부르는 노래를 통틀어 이르는 말. 노동요의 하나로, 지방마다 각기 다른 사설과 선율을 가지며, 앞소리꾼이 두 장단 또는 네 장단의 앞소리를 매기면 나머지 일꾼들이 뒷소리를 이어 부른다.
  • 노래와 허밍 : (1)관악기를 연주하면서 동시에 노래를 하거나 허밍을 하는 기법.
  • 카니발 노래 : (1)15세기 말, 플로렌스의 가면 놀이와 행렬에 붙여진 노래. 메디치 때에 성행하였다. 상성부가 주도하는 호모포니가 대부분이며, 하나의 선율에 많은 절을 붙인다.
  • 함평 들노래 : (1)전라남도 함평 지방의 들노래. 모찌기, 모심기, 애벌매기, 두벌매기, 만도리, 장원질 따위의 노래로 이루어진다.
  • 시드의 노래 : (1)12세기 중엽의 에스파냐 서사시. 11세기 카스티야 왕국의 귀족이자 장군인 로드리고 디아스 데비바르(Rodrigo Diaz de Vivar)가 왕의 총애를 잃은 후 자신을 변호하는 내용이다.
  • 나주 들노래 : (1)전라남도 나주 지방에서 논일을 하며 부르는 노래. 전라도 특유의 시나위 조(調)가 곁들여지고, 풍물놀이 반주가 딸리며, 육자배기 목으로 부르는데, 그 종류로는 모찌기 노래ㆍ모심기 소리ㆍ논매기 노래ㆍ장원질 노래 따위가 있다.
  • 시선뱃노래 : (1)어획기를 맞아 시선배가 어선으로부터 고기를 사들여 육지로 운반하면서 부르는 노래.
  • 옥구 들노래 : (1)전라북도 군산시 옥구 지역의 농부들이 들일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 불무 노래, 만경산 타령, 오호 타령, 자진산 타령, 에이싸호, 위야차 소리 따위가 있다.
  • 소년의 노래 : (1)슈토크하우젠이 1955년부터 1956년 사이에 작곡한 작품.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 가운데 하나로 소년의 목소리 및 여러 전자 음향을 사용하여 작곡된 전자 음악 작품이다.
  • 금괘자노래 : (1)구전 민요의 하나. 남녀가 묻고 대답하는 형식으로, 아내가 있는 남자가 남의 처녀를 몰래 만나려고 담을 뛰어넘다가 잘못하여 괘자를 찢기고 아내의 추궁을 걱정하자 처녀가 남자에게 대답할 방도를 일러 주는데, 그래도 아내가 믿지 못하거든 다음 기회에 감쪽같이 꿰매어 주겠다는 내용이다.
  • 조 심기 노래 : (1)평안남도 동부 산간 지방인 맹산, 양덕, 영원, 덕천 지방에서 부르는 농요(農謠). 조 농사에 따르는 김매기 소리, 부녀자들의 타령 소리가 어울린다.
  • 노래기벌 : (1)나나니벌과의 곤충. 암컷의 몸의 길이는 1.2~1.4cm이며, 검은색이고 잿빛을 띤 갈색의 털이 있다. 배에는 황색의 무늬가 있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대지의 노래 : (1)1908년에 말러가 작곡한 가곡. 테너와 알토가 교대로 부르는 여섯 곡의 독창곡으로, 가사는 베트게가 번역한 이백, 맹호연, 왕유 등의 시에서 취하였다. (2)1965년 오스트리아 작곡가 말러의 합창 교향곡 대지의 노래를, 영국의 무용가이자 안무가인 맥밀런이 안무한 단막 발레.
  • 백조의 노래 : (1)슈베르트의 마지막 가곡집. 그가 죽은 해인 1828년에 작곡한 열네 곡의 가곡을 뒤에 한데 모아 간행한 것으로, 독일 가곡 최고의 예술적 수준을 나타내며, 제4곡 <세레나데>는 특히 유명하다. (2)작가가 죽기 전에 마지막으로 지은 시가나 가곡 따위를 이르는 말. 백조는 죽기 직전에 노래한다는 북유럽의 전설에서 유래한 것이다. (3)러시아의 소설가이자 극작가인 체호프가 지은 희곡. 공연이 끝난 뒤에 텅 빈 극장 무대에서 홀로 리어왕과 햄릿의 대사를 읊는 늙은 배우를 통해 인생의 회환을 표현한 단막극이다. 1888년에 발표되었다.
  • 장원질 노래 : (1)전라남도에서, 만도리에 벼가 가장 잘된 집의 머슴을 소 따위에 태워 주인집으로 갈 때에 부르는 민요. 중중모리장단으로 되어 있다.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288개) : 나라, 나락, 나란, 나람, 나랑, 나랗, 나래, 나랙, 나레, 나려, 나력, 나례, 나로, 나록, 나롯, 나롱, 나룡, 나루, 나룩, 나룹, 나룻, 나륙, 나륜, 나륵, 나른, 나름, 나릅, 나릇, 나릉, 나리, 나립, 나릿, 낙락, 낙랑, 낙로, 낙론, 낙뢰, 낙루, 난란, 난렴, 난령, 난로, 난록, 난료, 난류, 난륜, 난리, 난립, 날람, 날래, 날레, 날력, 날렵, 날로, 날름, 날림, 남라, 남란, 남량, 남려, 남렬, 남로, 남록, 남료, 남루, 남류, 납량, 납뢰, 납루, 납리, 낭랑, 낭려, 낭료, 낭루, 낭류, 낭리, 내락, 내란, 내람, 내래, 내량, 내럭, 내레, 내렉, 내력, 내렴, 내령, 내례, 내로, 내뢰, 내료, 내룡, 내루, 내류, 내륙, 내르, 내리, 내릭, 내림, 내립 ...

실전 끝말 잇기

노래로 시작하는 단어 (71개) : 노래, 노래가락, 노래 가사, 노래각시, 노래곡, 노래 교실, 노래굿, 노래극, 노래기, 노래기강, 노래기날, 노래기 뱅이, 노래기벌, 노래기 부적, 노래기 족통도 없다, 노래기 푸념한 데 가 시룻번이나 얻어먹어라, 노래기 회도 먹겠다, 노래깨미, 노래꾼, 노래끼, 노래다, 노래 도우미, 노래동산, 노래뜰, 노래매이, 노래맹이, 노래면 다 륙자배긴 줄 아니, 노래명, 노래미, 노래 미사 ...
노래로 시작하는 단어는 71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노래를 포함하는 다섯 글자 단어는 55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